검색결과 리스트
우분투에 해당되는 글 4건
- 2011.04.24 우분투에서 bin 설치 방법
- 2011.04.23 우분투 10.10 Nvidia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설치 및 듀얼 모니터 설정 (피벗 설정 포함) (3)
- 2011.01.13 우분투 리눅스 에서 삼바(samba)사용하기
- 2011.01.13 네트워크 설정(고정 IP)
드라이버를 다운 받았으면, 드라이버를 설치 하면 됩니다. 설치 하기 위해 X window를 종료 하고 설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Ctrl + Alt + F1을 눌러서 콘솔하나 열어 줍니다.
그리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X window를 종료 합니다.
우분투에서 samba를 이용해서 파일공유 사용하기
파일을 공유하려는 서버에서 아래와 같이 삼바 패키지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samba smbfs
이 공유에 접근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do smbpasswd -a 아이디
접근 아이디를 지울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sudo smbpasswd -x system_username
삼바 서버를 설정하기 위해 문서 편집기로 설정파일을 연다.
sudo vim /etc/samba/smb.conf
그 안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입력한다.
# 기본적인 설정
[global]
# 워크그룹이름은 맘대로 정한다.
workgroup = WORKGROUP
encrypt passwords = yes
# 접근을 허락할 아이피 범위
hosts allow = 192.168.
# 문자 인코딩 설정, 우분투는 utf-8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 이것이 윈도우즈에서도 한글이 잘 깨지지 않는다.
unix charset=utf-8
dos charset=utf-8
#공유할 디렉토리 이름, 이것은 여러개를 만들 수도 있다.
[MyDoc]
comment = My Documents
path = /공유할/디렉토리
#읽기 전용으로 접근할지 여부
read only = no
browsable = yes
삼바의 설정은 매우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아래에 다양한 삼바 설정을 설명했다.
삼 바 설정이 끝났으면,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사한다.
sudo testparm
문제가 없으면 삼바를 실행한다.
sudo /etc/init.d/samba restart
우분투에서 패키지로 설치된 삼바는 컴퓨터가 켜질 때마다 실행될 것이다.
우분트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에 접근하는 법은 두가지이다.
첫째)
위치 메뉴 > 서버에 연결 을 선택한 후,
서비스 종류는 Windows공유를 지정하고,
사용자 이름과 연결에 사용할 이름 부분만 위에서 지정한 네트워크사용자아이디를 지정하면 된다.
둘째)
mount -t cifs //삼바서버아이피/삼바공유폴더이름 /공유가/지정될/로컬폴더 -o username=네트워크사용자아이디,password=비밀번 호,iocharset=utf8,file_mode=0777,dir_mode=0777
-o 이후로는 띄어쓰기를 해서는 안된다.
윈 도우즈에서 삼바 서버에 접근하려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새 연결을 설정하거나,
net use o: \\삼바서버아이피\삼바공유폴더이름 비밀번호 /user:네트워크사용자아이디
로 연결하면 되고,
삭제는 net use o: /delete
로 하면 된다.
1. 네트워크 설정파일 변경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엔터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210.118.75.xxx
gateway 210.118.75.1
netmask 255.255.255.0
network 210.118.75.0
broadcast 210.118.75.255
2. 네트워스 서비스 다시 시작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3. DNS 설정
sudo vi /etc/resolv.conf
nameserver 210.118.75.3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