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수에서 bin으로된 확장자를 실행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다운로드 받은 bin파일은 실행 속성이 없습니다.
그래서 실행 속성을 주고 난 다음 실행을 해야 합니다.

실행 속성을 주는 명령어는 chmod이며, +x 옵션을 통해 실행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아래의 명령을 입력하면 됩니다.

$ sudo chmod + x 파일명.bin    (실행 속성 부여)
$ sudo ./파일명.bin                    (실행 하기)

by danguria 2011. 4. 24. 00:31

처음으로 컴퓨터를 직접 조립하고 거기에 리눅스를 깔아보면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설치하는 것과,듀얼 모니터 설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서 이렇게 정리 해 봅니다.

제가 설치한 리눅스는 우분투 10.10이고 그래픽 카드는 GeForce 500 Series의 Geforce STX 550 Ti이며,모니터는 DELL 의 U2311H 두대를
사용하였습니다.


[NVIDIA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설치]

1. 드라이버 다운로드

리눅스용 드라이버를 설치 하기 위해서는 NVIDIA 홈페이지(www.nvidia.com)에 가서 직접 자신의 그래픽 카드 종류를 입력하여
해당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 제컴퓨터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사용하는 언어를 한국어로 지저하면 다운로드가 안되더라구요.그래서 언어를 English로 지정했습니다.


2. 드라이버 설치

드라이버를 다운 받았으면, 드라이버를 설치 하면 됩니다. 설치 하기 위해 X window를 종료 하고 설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Ctrl + Alt + F1을 눌러서 콘솔하나 열어 줍니다.


그리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X window를 종료 합니다.



$ sudo /etc/init.d/gdm stop

그런다음 드라이버를 받아 놓은 폴더로 이동하여 아래의 명령을 통해 드라이버를 설치 합니다.(보톤 ~/Downloads/ 폴더 아래에 있습니다.)

$ sudo sh NVIDIA-Linux-x86-270.41.06.run

※ 설치 하는 과정에서 pre-install이 실패 했다는 메시지가 나오던데, 무시하고 설치를 해도 크게 상관은 없는 듯 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컴퓨터를 재 부팅하면 드라이버 설치는 끝이 나게 됩니다.

[NVIDIA 그래픽카드 듀얼 모니터 설정 (피벗 설정 포함)]

모니터를 듀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etx/X11/xorg.conf 파일에 설정 내용을 잘 작성하면 됩니다.
처음 부터 이것을 작성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저 같은 경우 nvidia-setting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습니다.

※ 여기서 주의 해야 할 점은 xorg.conf를 직접 조작하면 이후부터 nvidia-settings 프로그램에서 설정하는 내용이 적용이 안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nvidia-settings 프로그램을 통해 최대한 설정을 하고 난뒤 nvidia-settings에서 하지 못하는 설정을 직접 파일에 작성하는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설정하기 전에 xorg.conf파일은 반드시 백업 해 두세요. 잘못되었을때 다시 복구하기
어렵습니다.

1. nvidia-settings 파일 설치 하기

콘솔에서 아래의 명령을 통해 nvidia-settings파일을 설치 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nvidia-settings

설치가 다 되었으면 ,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여기서 주의 해야 할 점을 root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System ]  --> [Perferences] --> [Nvidia Settings] 와 같은 매뉴를 선택하면 안됩니다. 아래와 같이 콘솔에서 root계정을 획득하여 실행 하도록 합니다.

$ sudo nvidia-settings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뜰 것입니다. 여기서 X Server Display Configuration 매뉴만 잘 알면 됩니다.이 매뉴를 설명 하기 전에 몇가지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해서 먼저 설명 드리겠습니다.

듀얼 모니터를 설정할때 두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하나는 TwinView라는 것으로 두개의 모니터를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듀얼 모니터를 쓰는 것과 같은 개념입니다. 자신의 모니터가 피벗 기능을 갖지 않았음때 TwinView로 설정하면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Seperate X screen입니다. 이것은 말 그대로 두 모니터를 다른 화면으로 분리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두 화면간 창을 이동할 수 없고 단지 마우스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이 설정을 적용하였는데 이유는 피벗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TwinView로는 하나의 모니터에만 피벗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죠..

그러면 지금부터 Seperate X screen 설정을 해 보겠습니다.

2. Seperate X screen 설정으로 듀얼 모니터 및 피벗 설정하기



위의 화면처럼 X Server Display Configuration매뉴를 선택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저는 이미 설정을 마친 후라 두 모니터가 활성화 되어 있지만 처음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하나의 모니터는 "Disable"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그 모니터를 선택한후 아래의 매뉴중 "Configure..."매뉴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나서 위와 같이 "Separate X screen"매뉴를 선택하면 됩니다. (TwinView를 선택하시고 할때도 여기서 TwinView를 선택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두개의 모니터의 위치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모니터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매뉴중에서 X Screen탭을 선택해야 합니다.


위와 같이 "X Screen"탭을 선택 하면 "Position"이라는 매뉴에서 모니터간의 위치관계를 설정하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왼쪽 모니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왼쪽 모니터를 선택하고 Position을 Absolute로 하였습니다.
오른쪽 모니터는 왼쪽 모니터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Position을 RightOf 로 설정하였습니다.



여기서 주의 해야 할 점을 Enable Xinerama 체크 박스 매뉴를 반드시 설정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하지 않으면 두 모니터간 창을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체크 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각 모니터의 스크린 번호(Screen Number)를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xorg.conf파일을 직접 수정할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설정을 다 했으면 Save to X Configuration File을 선태하고 저장을 합니다.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를 재 부팅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하면 두 모니터의 듀얼 모드 설정을 마쳤습니다. 추가적으로 피벗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직접 xorg.conf파일을 수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명령으로 xorg.conf파일을 열도록 합니다.

$ sodo vi /etc/X11/xorg.conf


파일의 내용을 보면 Section "..." 과 EndSection을 쌍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중에 Section "Device"을 찾습니다. 모니터가 두대이므로 Section "Device"은 두개가 있습니다.(아까 스크린 번호 기억 하셨죠?)
여기서 피벗을 하고자 하는 모니터의 스크린 번호가 있는 곳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을 추가 해 줍니다.

Section "Device"
Identifier "Device0"
Driver "nvidia"
VendorName "NVIDIA Corporation"
BoardName "GeForce GTX 550 Ti"
BusID "PCI:1:0:0"
Screen 1
Option "Rotate" "CCW"  # 추가한 설정

CCW는 시계반시계방향 CW는 시계방향입니다만..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기 까지입니다.....
설정하시다가 궁금한것이 있으면 댓글 남겨 주시면 같이 고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부파일로 제가 설정한 xorg.conf파일을 올립니다.



















by danguria 2011. 4. 23. 21:19

우분투에서 samba를 이용해서 파일공유 사용하기

파일을 공유하려는 서버에서 아래와 같이 삼바 패키지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samba smbfs

이 공유에 접근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do smbpasswd -a 아이디

접근 아이디를 지울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sudo smbpasswd -x system_username

삼바 서버를 설정하기 위해 문서 편집기로 설정파일을 연다.
sudo vim /etc/samba/smb.conf

그 안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입력한다.

# 기본적인 설정
[global]
# 워크그룹이름은 맘대로 정한다.
workgroup = WORKGROUP
encrypt passwords = yes
# 접근을 허락할 아이피 범위
hosts allow = 192.168.
# 문자 인코딩 설정, 우분투는 utf-8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 이것이 윈도우즈에서도 한글이 잘 깨지지 않는다.
unix charset=utf-8
dos charset=utf-8
#공유할 디렉토리 이름, 이것은 여러개를 만들 수도 있다.
[MyDoc]
comment = My Documents
path = /공유할/디렉토리
#읽기 전용으로 접근할지 여부
read only = no
browsable = yes


삼바의 설정은 매우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아래에 다양한 삼바 설정을 설명했다.

삼 바 설정이 끝났으면,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사한다.
sudo testparm

문제가 없으면 삼바를 실행한다.
sudo /etc/init.d/samba restart

우분투에서 패키지로 설치된 삼바는 컴퓨터가 켜질 때마다 실행될 것이다.

우분트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에 접근하는 법은 두가지이다.

첫째)
위치 메뉴 > 서버에 연결 을 선택한 후,
서비스 종류는 Windows공유를 지정하고,
사용자 이름과 연결에 사용할 이름 부분만 위에서 지정한 네트워크사용자아이디를 지정하면 된다.

둘째)
mount -t cifs //삼바서버아이피/삼바공유폴더이름 /공유가/지정될/로컬폴더 -o username=네트워크사용자아이디,password=비밀번 호,iocharset=utf8,file_mode=0777,dir_mode=0777
-o 이후로는 띄어쓰기를 해서는 안된다.

윈 도우즈에서 삼바 서버에 접근하려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새 연결을 설정하거나,
net use o: \\삼바서버아이피\삼바공유폴더이름 비밀번호 /user:네트워크사용자아이디
로 연결하면 되고,
삭제는 net use o: /delete
로 하면 된다.

by danguria 2011. 1. 13. 03:44

네트워크 설정(고정 IP)

1. 네트워크 설정파일 변경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엔터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210.118.75.xxx

gateway 210.118.75.1

netmask 255.255.255.0

network 210.118.75.0

broadcast 210.118.75.255

2. 네트워스 서비스 다시 시작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3. DNS 설정

sudo vi /etc/resolv.conf

nameserver 210.118.75.3



by danguria 2011. 1. 13. 03:42
| 1 |